역사/국가유산
- 우리가 만드는, 우리가 즐기는,
함께 어우러지는 강동구 - 강동구의 역사와 문화를 탐방해보세요!
해공 신익희 선생 동상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해 임시정부 수립과 동시에 내무차장·외무차장·국무원비서장·법무총장·외무총장·문교부장 등을 지냈다.내무부장 재임중 8·15해방을 맞이해 귀국했으며, 귀국 후에는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는 노선을 달리했으며, 정치공작대· 정치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정치활동을 했다. 1946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위원장, 자유신문사 사장, 국민대학 초대 학장 등을 지냈으며,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1947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의장이 되었으며, 지청천(池靑天)의 대동청년단과 합작, 대한국민당을 결성하고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48년 제헌국회의원에당선되어 부의장이 되었다가 같은 해 8월 의장 이승만이 대통령이 되자 의장으로 피선되었다. 정부수립 이후 이승만과 멀어지기 시작한 한국민주당의 김성수의 제의를 받아들여 1949년 민주국민당을 결성하고 당 위원장에 취임했다. 1950년 제2대 민의원에 당선되었고, 다시 국회의장에 피선되었다. 이어 제3대 민의원에도 당선되었으며, 1955년 민주국민당을 민주당으로 확대, 발전시킴과 아울러 당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56년 민주당 공천으로 대통령에 입후보, 자유당의 이승만과맞서 호남지방으로 유세하러 가던 도중 열차 안에서 뇌일혈로 죽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2001년 천호동 448-49 마을마당에 강동구청 주관으로 해공신익희선생 동상을 건립하였다.
찾아오시는 길
지하철 | 5호선 강동역 1번출구 하차 15m |
---|---|
버스 | 130, 300, 3214, 3316, 341, 361, 370, 9301(강동성심병원 하차 10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