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국가유산
- 우리가 만드는, 우리가 즐기는,
함께 어우러지는 강동구 - 강동구의 역사와 문화를 탐방해보세요!
침선장
- 종목국가무형유산 제89호
- 명칭침선장(針線匠)
- 지정일1988년 8월 1일
- 소재지서울시 강동구
- 보유자구혜자(具惠子)
- 침선이란 바느질로 옷과 장신구를 만드는 기술을 말하며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침선장이라 한다.
- 사람이 바느질을 시작한 것은 역사시대 이전부터였다고 한다. 지금의 바늘과 흡사한 신라시대 금속제가 발견되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나『삼국사기』를 통해 볼때 삼국시대부터 이미 상당한 수준의 침선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침선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더욱 발달하여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 침선에 필요한 용구로는 옷감, 바늘, 실, 실패, 골무, 가위, 자, 인두, 인두판, 다리미, 다리미판, 못바늘 등이다. 옷감으로는 주로 비단, 무명, 모시, 마 등이 쓰인다. 실은 무명실을 많이 사용하며, 실의 선택은 옷감의 재질, 색상,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바느질 방법은 기초적인 감침질과 홈질, 박음질, 상침질, 휘갑치기, 사뜨기, 공그르기 등으로 옷의 부위에 따라 필요한 바느질법을 사용한다. 계절변화에 따라 여름에는 홑으로 솔기를 가늘게 바느질하고, 봄·가을에는 겹으로 바느질하며, 겨울에는 솜을 넣어 따뜻한 옷을 만든다.
- 옛날에는 여자면 누구나 침선을 할 줄 알아야만 했기에 집안에서 바느질법을 익히고 솜씨를 전수받아서 침선법이 계속 이어져왔으며, 궁중에서도 침방이 있어 기법이 전승되기도 하였다.
- ※ 감침질 : 직물의 양끝이나 의복의 단에서 꺾어진 곳을 튼튼하게 꿰매는 바느질의 한 방법
- ※ 홈질 : 바늘땀을 위아래로 드문드문 성기게 꿰매는 바느질의 한 방법
- ※ 상침질 : 박아서 지은 겹옷이나 보료, 방석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밥이 겉으로 드러나도록 꿰맴
- ※ 휘갑치기 : 옷감의 마름질한 가장자리가 풀리지 않도록 꿰매는 바느질의 한 방법
- ※ 사뜨기 : 왼쪽, 오른쪽을 교차하며 겹쳐 꿰매는 바느질
- ※ 공그르기 :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어 바늘을 양쪽에서 번갈아 넣어 실 땀이 시접 겉으로 나오지 않도록 꿰매는 바느질
우리 민족의 얼과 숨결이 깃든 소중한 문화유산의 보존·관리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도난문화재 발견시 즉시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문화재청 문화재 사범신고 (☎080-290-8000) 문화재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해당 자치단체 문화재관련 부서 (강동구청 문화예술과 ☎02-3425-5250)
강동구청이 창작한 침선장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변경금지+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