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사동’ 하면 떠오르는 장소는? 많은 사람들이 학창시절 배웠던 교과서 속의 ‘암사동 선사 유적지’를 떠올린다
역사 교과서 첫 페이지에 빗살무늬토기와 함께 등장하는 암사동 유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학교 다닐 때 소풍으로 한번쯤은 방문했을 법한 곳이고, 지금도 많은 학생들이 현장 학습으로 암사동 유적을 찾고 있다.
암사동 유적은 1925년 을축년에 한반도를 강타한 집중 호우로 한강 일대가 휩쓸려 내려가면서, 지하에 묻혀 있던 어마어마한 양의 토기편들이 노출되면서 그 존재가 알려졌다.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일본인 학자에 의해 간단한 보고만 이뤄졌을 뿐, 유적이 크게 파괴된 것으로 여기고 큰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그러다 1967년 장충고교 야구장을 짓기 위해 암사동 일대 토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빗살무늬토기와 돌무지 등이 대거 드러나게 되면서 다시 세간의 관심을 모았다. 당시 경희대학교의 조사를 시작으로, 대학연합발굴단 발굴조사와 1971년~1975년 국립중앙박물관의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수렵 채집 생활을 하며 취락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집터와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해 돌도끼, 돌화살촉, 긁개 등의 생활도구와 돌낫, 보습과 같은 채집 도구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고 1979년 7월에 사적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1988년 서울올림픽을 개최할 당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유적을 방문하여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배울 수 있도록 유적공원으로 조성해 개방하게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지만, 공사나 시설물 설치를 위한 부분적인 조사에 불과해 유적의 학술적인 면모를 밝히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 실시된 2015년 전기?통신 간선 공사 시굴조사에서 신석기시대 문화층이 발견되는 성과를 거두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졌다.
당시 현장을 방문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과 전문가들은 그간 밝혀지지 않았던 암사동 유적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학술 자료 수집과 기존 자료와의 연계를 위해 지속적인 발굴조사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에 강동구는 발굴조사를 위해 문화재청과 서울시와 협의해 정밀 발굴조사 예산 2억을 추가로 확보, 1970년대 국립중앙박물관 발굴조사 이후, 40년 만에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가 실시되는 구간은 작년 시굴조사에서 신석기 문화층이 발견된 지점과 유적 남측 경계부, 1970년대 발굴된 움집터 지점을 합쳐 총 992㎡ 규모다. 기존 집터 구간 재조사를 통해 유적의 원지형과 지표를 파악하고, 한강변 자연제방을 따라 분포하고 있는 신석기 문화층 집중 조사를 통해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던 암사동 유적 마을의 전모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가 크다.
발굴기간 동안에는 유구와 유물의 보호를 위해 발굴구간 공개가 제한된다. 하지만 5월 5일 어린이날 유적을 방문하는 초등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발굴현장 깜짝 공개가 있을 예정이다. ‘암사동 유적 어린이 발굴조사단’이 되어 실제 발굴 현장도 들어가 보고, 유물 발굴 체험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서울 암사동 유적 홈페이지 통해 사전접수 http://sunsa.gangdong.go.kr/) 발굴조사는 7월까지 계속되며, 금번 발굴 결과에 따라 연차적으로 추가발굴조사가 진행될 계획이다. 이해식 구청장은 “발굴조사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신석기시대 마을 유적의 새로운 면모가 밝혀지게 되면 암사동 유적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서울 암사동 유적’ 발굴조사에 주민들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