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작은 손이 강동구의 한 초등학교 상담실을 문을 열었다. 평소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A양(11)이다. 정서행동검사에서 우선관심대상군으로 분류되어 담임선생님과 함께 찾아왔다.
A양은 맞벌이 가정의 막내다. 부모님은 일터에서, 언니와 오빠는 학원에서 늦은 밤이 되어야 집으로 돌아온다. A양은 집에서 혼자 가족들을 기다리기가 무서워 놀이터를 배회했고, 놀이터에서 만난 길고양이들에게 먹이를 주며 외로움을 달랬다. 친구들은 그런 A양을 보고 ‘밤고양이’란 별명을 붙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이지만 책 읽기와 교우관계에 서툰 A양에게 학교생활은 늘 어렵고 외로운 것이었다.
강동구에서 학교로 지원된 니즈콜 전문상담사 이씨는 A양에게 표정카드를 고른 후 새둥지를 그려보게 했다. 현재의 기분과 애착관계형성에 대한 검사이자, 스스로 무의식을 드러내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심리치료기법이기도 하다. A양은 ‘무섭다, 외롭다’라는 의미의 표정카드를 선택했고, A양 앞에 놓인 하얀 종이 속 새둥지 안에는 아기 새만이 홀로 그려졌다.
엄마 새와 아빠 새를 그리지 않은 것은 가족 간의 애착관계가 매우 낮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씨는 혼자서 가족을 기다리며 외로워하는 A양의 모습이 눈에 선해 6월 A양과의 첫 만남 이후, 지금까지 주 1~2회 상담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얼마 전까지 교과서도 제대로 읽기 힘들어했던 아이었는데, 이제 자발적으로 도서관에서 책을 빌린다. 상담시간에 읽은 책의 줄거리를 이야기해주곤 하는데 아이가 좋은 변화를 보이는 것이 기쁘다”고 이씨는 말한다. A양이 상담실에서 이씨와 함께 책 읽기 연습을 하며 독서의 재미를 느꼈고,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의사표현이 훨씬 자연스러워졌다는 것이다.
몇 개월이 지난 요즘 A양이 다시 선택한 표정카드의 의미는 ‘설렌다, 고맙다’이다.
강동구(구청장 이해식)에는 총 26개의 초등학교가 있는데 상담실은 9개교에서만 운영되고 있었고, 그마저도 6개교는 주 2~3회만 상담사가 방문하는 순회상담대상학교였다.
구는 3월 혁신교육지구 분과위원회(분과명: 초등 Needs Call 상담분과)와 4월 구청장과 함께하는 수요데이트(학교 상담업무 관계자)에서 제안된 의견을 모아 5월 한 달간 초등 Needs call 상담원을 모집하고, 6월부터 상담실이 운영되고 있지 않은 17개 초등학교에 전문상담사를 지원·배치하였다.
강동구는 명실상부한 학생 심리상담 지원 특별 자치구이다. 2011년 1개교를 시작된 심리상담원 지원이 2015년 현재 35개 학교로 퍼졌다. 2012년 관내 모든 중학교(18개)에 상담원을 배치한 지 3년 만에 초등학교까지 지원을 확대하게 되었다.
이는 중학생 시기에 찾아오던 사춘기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로 앞당겨지고 있는 사회적 환경변화와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지원을 결정한 것이다. 아울러 서울형혁신교육지구 공모에서 강동구가 우선지구형 사업대상지로 선정되어, 마침 재정적 지원도 뒷받침 되었다.
강동송파교육지원청과 강동Wee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상담사 모집부터 학교 여건을 고려한 배치까지, 예전보다 전문성이 훨씬 강화되었다. 현재 41명의 전문상담사가 학교에서 학생 상담을 진행 중이다.
강동구와 교육지원청에서는 매월 직무연수를 마련하고, 자체 워크숍 기회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모임 활동을 진행 중인 상담사들은 인성교육매뉴얼을 자체 제작하여 올 연말 강동구 전체 학교에 배포할 계획이다.
한 상담사는 “우리는 아이들의 감정을 하나씩 표출해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들이고, 마음의 병을 앓는 아이들의 유일한 감정표현 공간이 바로 이 곳 상담실이다. 우리 학교에도 간혹 자해를 하는 위기 학생이 있다. 그 아이가 ‘죽고싶다’며 들어온 상담실을 웃으며 나갈 때 정말 보람을 느낀다. 아이들 마음의 상처를 보듬어 행복해질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